언어학
-
Excluded middle [排中律]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09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안한 정확한 사고의 법칙 가운데 하나. 그는 모든 사고에 있어서 근본이 되는 세 가지 법칙, 즉, 동일률(同一律 laws of identity), 모순률(矛盾律 laws of contradiction), 배중률(laws of excluded middle)을 제안하였다. 동일률이론 모든 것은 자신과 같다는 것이며, 모순률이란 모순명제가 동시에 참일 수 없다는 것이고, 배중률이란 모순명제가 동시에 거짓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논리적으로 나타내면, 동일률은 x = x, 모순률은 ∼(p∧∼p) 또는 ∀x∼(Fx ∧∼Fx), 그리고 배중률은 p∨∼p 또는 ∀x(Fx∨∼Fx)이다. 배중률이 이치율(二値律 principle of bivalence)과 유사하게 느껴지는데, 이치율에 따르면 모든..
-
Entailment [含意]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07
어떤 한 명제로부터 다른 명제를 얻어낼 수 있는 두 명제간의 관계이다. 명제 p가 참이면서 동시에 명제 q가 거짓이 될 수 없는 경우에 p가 q를 함의한다고 한다. 이러한 함의 관계를 엄밀함언(strict implication)이라 한다. 그런데 모순되는 명제는 당연히 거짓이며, 따라서 모순명제가 참이면서 다른 명제가 거짓일 경우는 없다. 즉, 모순명제는 어떤 명제든지 함의하게 된다. 모순명제가 모든 명제를 함의하기 때문에 어떤 명제든 얻어낼 수 있다는 소위 엄밀함언의 역설에 빠지게 된다. (p∧∼p)는 p와 (p∨q)도 함의할 뿐만 아니라 ∼p와 q도 함의한다. p가 거짓이거나 q가 참이면, p가 q를 함의한다는 견해가 있는데, 이 견해를 실질적 함언(material implication)이라 한다. ..
-
Endocentric/exocentric construction [內心/外心構造]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07
Bloomfield (1933: 194-96)가 처음 도입한 개념으로 미국구조주의의 기본 개념. 직접성분분석(IC analysis)에서 이러한 구별이 필요한데, 직접성분분석에서는 통사구조를 최종적인 요소에 이를 때까지 계속 나눈다. Bloomfield는 원어민에게 The frightened sparrows flew off를 두 개로 나누도록 할 때, 문장을 다섯 개의 단어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The frightened sparrows와 flew off로 나눈다는 데서 이러한 분석이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The frightened sparrows와 flew off도 역시 나눌 수 있다. 이처럼 어떤 구조를 좀더 작은 단위로 쪽갠다는 것은 같은 구조에 나타나는 어떤 구성소가 다른 구성소보다는 더 가깝다는 ..
-
Denotation [外延]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05
모형(model)에서 구의 외연은 그 구가 지시하는 대상(또는 대상의 집합)이다. 만약 모형이 실세계(real world)라면, 구의 외연은 실세계의 대상이다. 모형에서 구의 외연을 해석(interpretation)이라 한다. 구의 외연은 그 구의 통사 범주에 따른다. 간단히 말하자면, 구의 외연은 다음과 같다. 고유명사(proper noun; PN)의 외연은 개체(individual)이다. 즉, 예를 들어, 고유명사 John의 외연은 모형(또는 실세계)에서 John이란 표현이 가리키는 대상이다. VP의 외연과 보통명사(common noun; CN)의 외연은 모두 개체의 집합(set of individuals)이다. every man과 같은 NP는 한정사(determiner)와 명사로 구성되어 있는데, ..
-
De dicto/de re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03
de dicto와 de re의 구별은 possible과 같은 서법 술어나 believe와 같은 인식동사가 나타나는 문맥에서 생긴다. 다음 문장들의 대조를 살펴보자. (1) a. □(∃x)(x is greater than 7) b. (∃x)□(x is greater than 7) (2) a. Ralph believes that (∃x)(x is a spy) b. (∃x) Ralph believes that (x is a spy) (1a)와 (2a)는 de dicto reading을 갖는데, 두 경우에 모두 절이 각각 □과 believe의 작용역 안에 있다. 그러나 (1b)와 (2b)의 경우에는 ∃x가 각각 □과 believe의 작용역 밖에 있기 때문에 de re reading을 갖는다. 다시 말해, (2a..
-
Characteristic function [특성함수]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02
함수란 직관적으로 볼 때, 어떤 한 종류의 대상과 다른 종류의 대상을 관련시키는 것이다. 특성함수는 어떤 한 종류의 대상을 진리치(truth value), 즉 참과 거짓이라는 제한된 대상와 관련시키는 함수이다. 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특성함수는 어떤 임의의 집합 A를 정의역(domain)으로 하고, {1, 0}을 치역으로 하는데, 여기서 1은 참을, 0은 거짓을 나타낸다. 만약 함수 f의 정의역이 A라면, f: A→{1, 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모든 특성함수 f: A→{1, 0}는 정의역 A의 부분집합 A 를 명시해 준다. 즉, A ={a A | f(a)=1}. 진리조건적 의미론에서 문장의 외연(denotation)을 참과 거짓으로 보는데, 즉 문장의 의미를 참과 거짓이라고 보는데, 만약 Joh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