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
Purposive construction [目的構文]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7. 22:42
Johns (1985)는 목적구문을 이유절(rational clause)과 목적절(purpose clause)로 나눈다. (1) a. They brought John along [(in order) to talk to him] b. They brought John along [to talk to] Faraci (1974)는 둘을 구조적으로 구분하는데, 이유절이 VP 밖에 생성되는 반면, 목적절은 VP 안에 생성된다. 이에 대한 증거로 다음 현상을 든다. (2) a. 목적절과 달리 이유절은 자유롭게 전치된다. b. 이유절과 달리 목적절은 의미상 동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c. 이유절과 목적절이 동시에 나타날 때 목적절이 먼저 온다. d. VP 생략에서 이유절과 달리 목적절은 VP와 함께 생략된다. e..
-
Presupposition[전제]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1. 22:56
전제는 Russell (1905)이 다음 한정명사구(definite noun phrase)의 존재 적 전제와 관련하여 제시한 개념이다. (1) The King of France is bald 윗 문장은 다음과 같은 두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한다 (2) The King of France exists (3) He is bald Strawson (1950)은 이러한 견해를 받아들이지 않고, (3)이 명시적으로 단 언되 고 있는 반면, (2)는 전제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문장 (1)을 부정하더라도 전제 (2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전제는 단지 한정명사구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많은 통사구 조나 어 휘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Kiparsksy & Kiparsky (1970)는 다음과 같이 ..
-
Paradigmatic relation [系列關係]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1. 22:54
선택관계(choice relation)라고도 하며, 통합관계(syntagmatic relation)와 구별된다. 문장을 횡적으로 쓸 때 각 요소에는 보이지 않는 선택관계가 작용한다. 예를 들어, A―B―C처럼 단어가 나열된 문장이 있을 때, A, B, C의 관계를 통합관계라 한다. 이와 달리 A라는 한 요소가 어떤 환경에서 사용되면 다른 유사한 A , A , A 이 동시에 사용되지 못하는데 이러한 관계를 계열관계라 한다. 예를 들어, a ... of milk와 같은 환경에서 pint는 bottle, cup, gallon과 같은 요소와 계열관계에 있으며, a, of, milk와 통합관계에 있다. 이러한 개념은 스위스의 언어학자 Saussure가 제시한 것으로, 그는 언어의 선형적 특징에 기초한 횡적 관계를..
-
Opaque context [不透明脈絡]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1. 22:53
Quine (1960)의 용어로서, '투명한(transparent)'에 대립되는 개념. 동일지시적인 단칭표현(singular expression)들을 대치하였을 때, 그 진리치가 유지되지 않는 맥락을 불투명맥락이라 한다.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동일 진술문 'a=b'가 있을 때, 'XaY'와 'XbY'라는 진술이 반대되는 진리치를 가질 수 있는 영역 'X ____ Y'는 불투명맥락이다. 다음 예를 보자. (2) a. the girl living above John=the uglist girl in the world b. Bill wants to marry the girl living above John. c. Bill wants to marry the ugliest girl in the worl..
-
Null operator construction [零運用子構文]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1. 22:51
Browning (1987)에 따르면 영운용자가 나타나는 구문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1) a. 공백(gap)을 남긴다. b 하위인접조건(subjacency condition)을 지킨다. c. 영운용자의 흔적이 공범주원리(ECP)와 결속조건 (C)를 지킨다. 부정사관계문인 (2)는 (1)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2) a. I found a book [Oi [for you to read ti]] b. *I found a book [Oi [for you to insist on the principle that John should read ti]] c. *A man [Oi (for us) to convince Mary that ti should bet the job] (2b)는 NOC가 하위인접조건을, ..
-
Noun phrase complement [名詞句補文]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3:03
Rosenbaum (1967)의 용어. 어떤 문장 S의 NP나 VP에 내포된 문장 S를 보문이라 한다. 보문 가운데 VP에 직접 관할되는 보문 S를 동사구보문(verb phrase complement)이라 하고, NP에 직접 관할되는 보문 S를 명사구보문이라 한다. 명사구보문을 설정하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먼저 수동변형의 허용성으로 (1)에서는 보문 S가 수동문의 주어가 될 수 있는 반면, (2)에서는 S가 수동문의 주어가 될 수 없다. (1) a. Columbus demonstrated that the world is not flat. b. That the world is not flat was demonstrated by Columbus. (2) a. I tend to think slowl..
-
Minor movement rule [小移動規則]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3:01
Emonds (1970)는 변형규칙을 대이동규칙(major movement rule)과 소이동규칙으로 나누고, 다시 대이동규칙은 뿌리변형(root transformation)과 구조보존변형(structure preserving transformation)으로 나누었다. 소이동규칙은 Deg, Det, Particle, Affix, Aux 등과 같이 구가 아닌 마디를 이동시키는 규칙으로 뿌리변형과 마찬가지로 구조보존제약을 따르지 않는다. Emonds (197 6)는 소이동규칙을 국부변형(local transformation)이라는 용어로 대치하였다. (1)과 같은 구조에서 어떤 마디 B가 인접하는 다른 마디 C를 넘어 이동되는 규칙이면 (2)를 지켜야 한다. (2) a. B와 C는 서로 구조를 이루며, b...
-
Minimal major category [最小大範疇]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59
Chomsky (1973)의 용어. N, V, A 등과 이를 관할하는 범주를 대범주라 하며, X의 최소대범주 MMC(X)는 X를 관할하는 최소의 범주이다. 만약 X가 대범주일 때는 X가 최소대범주가 된다. 즉 [the men each] saw the other에서 each는 대범주가 아니므로 이를 관할하는 the men each가 each의 최소대범주이다. 마찬가지로 the의 범주 역시 Det로서 대범주가 아니므로 the의 최소대범주는 the men이 된다. 그러나 men은 N이므로 MMC(men)은 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