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Endocentric/exocentric construction [內心/外心構造]
    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07

    Bloomfield (1933: 194-96)가 처음 도입한 개념으로 미국구조주의의 기본 개념. 직접성분분석(IC analysis)에서 이러한 구별이 필요한데, 직접성분분석에서는 통사구조를 최종적인 요소에 이를 때까지 계속 나눈다. Bloomfield는 원어민에게 The frightened sparrows flew off를 두 개로 나누도록 할 때, 문장을 다섯 개의 단어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The frightened sparrows와 flew off로 나눈다는 데서 이러한 분석이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The frightened sparrows와 flew off도 역시 나눌 수 있다. 이처럼 어떤 구조를 좀더 작은 단위로 쪽갠다는 것은 같은 구조에 나타나는 어떤 구성소가 다른 구성소보다는 더 가깝다는 의식이 있기 때문이다.

    구성소간의 친소관계는 대치 가능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어떤 구성소가 똑같은 분포(distribution)를 갖는다면 하나의 단어로 대치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frightened sparrows 대신 birds를 사용할 수 있으며, flew off 대신에 disappeared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sparrows flew의 경우 두 단어가 비록 인접해 있지만 하나의 단어로 대치할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I shall see a man I was at college with in London twenty years ago in a few days's time의 경우에 I shall see Mike soon처럼 간단히 할 수도 있다.

    대치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a) 구성소 가운데 하나로 대치되는 경우와 (b) 같은 분포를 갖는 구성소로 대치되는 경우이다. (a)의 예로 frightened sparrows를 sparrows로 대치하는 경우를 들 수 있고, (b)의 예로 a man I was at college with in London twenty years ago를 Mike로 대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같은 분포를 갖는 구성소로 대치할 수 없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어 in a few days' time의 경우 in이나 a few day's time이 부사류가
    아니므로 그 가운데 하나로 대치될 수 없다. 전자의 경우처럼 대치가 가능한 구조를 내심구조라 하고, 후자처럼 대치가 허용되지 않는 구조를 외심구조라 한다.

    내심구조는 대등(co-ordinate) 구조와 종속(subordinate) 구조의 두 유형이 있다. 대등 내심구조의 경우 직접구성소의 어느 하나가 나머지를 대신하여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He breeds ducks, geese and turkeys는 He breeds poultry가 가능한 것처럼 He breeds ducks, He breeds geese, He breeds turkeys 모두 가능하다. You may choose beef or lamb과 같이 대등접속사가 or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You may choose beef, He may choose lamb도 가능하다. 반면에 종속 내심구조에서는 직접구성소 가운데 하나만이 대표로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oor John의 경우에는 John이, very fresh milk의 경우에는 milk가 반드시 나타나야 한다.

    외심구조에는 한정동사(finite verb)가 쓰인 John ran, 전치사가 쓰인 beside John, 종속접속사가 쓰인 if John ran away 등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그 가운데 어떤 한 구성소가 전체를 대표하여 대치될 수 없다. 예를 들어, if John ran away의 경우에, 그 가운데 한 요소가 부사절을 대신하여 쓰일 수 없다.

    복합어의 경우에도 내심/외심 구조의 구별이 가능하다. 외심적 복합어의 경우에는 복합어의 핵(head)과 복합어 전체가 다른 의미군에 속한다. 예를 들어 redhead는 head의 일종이 아니다. red neck, blue-collar, notwithstanding 등도 외심구조이다. 그러나 dog food는 food의 일종이며, cave man은 man의 일종이다. 따라서 이들 복합어는 blackbird, doorknob, wellmeaning 등과 마찬가지로 내심구조이다.

    '언어학 > 언어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cluded middle [排中律]  (0) 2021.12.31
    Entailment [含意]  (0) 2021.12.31
    Denotation [外延]  (0) 2021.12.31
    Deixis(直示語)  (0) 2021.12.31
    De dicto/de re  (0) 2021.12.31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