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
Functional relatedness [機能的 關聯性]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40
Freidin(1978)의 용어로 기능적 유일성(functional uniqueness)과 함께 논리형태에 대한 조건이다. 이 조건에 따르면 의미적 내용을 갖는 어휘가 논항위치를 차지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도출은 제외되어야 한다. (1) a. [e was reported [Fred to have kissed Mary] b. [Fredi was reported [ti to have kissed Mary] c. [Fredi was reported [Maryi to have kissed tj] 이러한 도출을 배제하기 위해 Freidin(1978: 524)은 다음 조건을 둔다. (2) 흔적삭제금지: 결속된 흔적은 삭제되어서는 안 된다. 적정결속조건(condition on proper binding)에 ..
-
Functional category [機能範疇]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39
어휘범주(lexical category)와 대립되는 개념. 어휘범주는 [±N, ±V]로 나타낼 수 있는 반면, 기능범주는 이러한 범주자질로 나타낼 수 없다. 기능범주에 속하는 범주로는 C, I, D 등이 있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범주는 폐쇄체계로, 그 수가 늘어나기 힘들며, 강세를 받지 않고, 접사로 쓰이며, 때로는 음가를 갖지 않는다. 둘째, 기능범주는 오직 하나의 보충어(complement)를 가지는데, 이 보충어는 논항으로 쓰이지 않는 범주이다. 예를 들어 I를 VP를 선택하고, C는 IP를 선택하는데, VP와 IP 모두 논항으로 쓰이지 못한다. 셋째, 기능범주는 기술적 내용을 갖지 않는다. 즉 C는 다음에 오는 문장에 의문문인지 또는 평서문인지를 결정해 줄 뿐이다. 이처럼 어휘..
-
Function [函數]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37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본 개념으로, 형식의미론을 논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 개념. 함수 f는 X라는 집합(set)의 각 원소 x에 Y라는 집합의 한 원소 y를 할당하는 규칙이다. 이때 집합 X를 함수 f의 정의역(domain)이라 하고, Y를 공변역(codomain), x를 논항(argument), x에 할당된 y를 값(value)이라 하며, 값을 모아 놓은 집합 즉 x와 연결된 y의 집합을 치역(range)이라 한다. 이러한 관계(relation)를 표현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는데,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나열법이다. 이러한 나열식은 정의역이 제한되어 있을 때는 가능하지만, 정의역이 클 때는 불편하거나 불가능하다. 이를 표현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은 f(x)=2x+1처럼 쓰는 것이다. 이 표현의..
-
Felicity condition [적정조건]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25
대화를 한다는 것은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문맥에서 발화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화자가 어떤 청자에게 'I promise to take you to a movie tomorrow'라고 말한다면, 화자가 약속을 지킬 의사가 있다면 그 발화는 적절하지만, 만약 약속을 지킬 의사가 없다는 적절하지 못하다. Austin (1975)은 이러한 진지성조건(sincerity condition) 외에도 다른 세 가지 적정조건을 제시한다. 예비조건(preparatory)은 화행(speech act)이 성공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 참여자의 상황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며, 실행조건(executive condition)은 화행이 적절하게 수행되는지는 결정하는 조건이다. 마지막으로 완수조건(fulfillment condit..
-
Extraction [抽出, 적출]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14
명사구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추출이라 하며, 이러한 규칙으로 의문문변형, 관계화, 화제화 등이 있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 명사구를 왼쪽이동시킬 때 어떤 영역에서 이동이 가능한가, 또는 불가능한가를 논하는데, 이를 적출조건(condition on extraction)이라 한다. 이러한 조건으로 특정성조건(specificity condition), 하위인접조건(subjacency condition), 적출영역조건(condition on extraction domains) 등이 있이 있으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1) a. *Whoi did you see [John's picture of ti]? b. *Howi did John wonder [which car John fixed ti]? c. *Wh..
-
Extension [外延]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13
똑 같은 지시를 갖는 표현이 자유롭게 서로 대치가 가능하면, 두 표현의 외연이 같다고 한다. 다음 추론 과정을 통해 모든 표현이 외연적이지는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a. Isolde thinks that Tristan is admirable. b. Tristan is the murderer of Isolde's fianc. c. Isolde thinks the murderer of her fianc is admirable. 위의 추론은 옳지 못한데, 만약 동사 think가 외연적 동사라면 내포문의 주어를 같은 지시를 갖는 것으로 대치하여도 진리치가 바뀌지 않을 것이다. Tristan이 Isolde의 약혼자를 죽였다는 가정하에서 Tristan is admirable과 The murderer of..
-
Expletive-argumnt pair [虛辭-論項 짝]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12
Chomsky (1986a, 1988c)의 용어. 허사-동료 짝(expletive-associate pair)이라고도 한다. 영어의 there나 이태리어의 ci등은 지시내용을 갖지 못하므로 해석되지 않는다. 인가조건(licensing condition)과 완전해석의 원리(principle of full interpretation)에 따라 모든 요소가 적절한 해석을 받아야 하는데, there는 허사로서 LF의 적법한 요소가 아니다. 따라서 LF에 there가 나타나지 않아야 하는데, 만약 LF에서 어떤 요소가 부가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런 의미에서 there는 LF접사(LF-affix)이다. 존재의 there는 세 가지 특성을 가지는데, there와 어떤 구조적 관계를 가진 NP가 있어야 하며, 수가..
-
Existential presupposition [存在의 前提]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11
전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으로, 합성성의 원리(principle of compositionality)를 제안한 Frege (1892)가 발견해냄. 합성성의 원리에 따라 진리치(truth-value)를 결정할 때, The man walks와 같은 문장의 진리치는 술어 walk의 외연(extension)과 definte term인 the man의 외연이 정의된 모형(model)에서 the man의 외연이 walk의 외연에 포함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즉, '걷는이'의 집 합 속에 the man이 있으면 참이고 그렇지 않으면 거짓이다. 따라서 술어 walk의 외연은 개체로부터 진리치로 가는 함수이다. 만약 the man이 가리치는 대상이 없다면, 즉, 모형 속에 the man이 없다면 문제가 생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