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
C-command [성분통어]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00
constituent command의 약칭. 성분통어는 한 수형도 안에 나타나는 마디(node) 간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단히 말하자면, A라는 마디는 자매마디인 B와 B가 관할(dominance)하는 마디를 모두 성분통어한다. 이를 형식화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음 조건이 충족되면, A가 B를 성분통어한다. a. A를 관할하는 첫 번째 분지마디가 B를 관할하고, b. A가 B를 관할하거나, B가 A를 관할하지 않는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두 개의 자매마디는 서로 성분통어하게 되며, 그 하위마디도 성분통어하게 된다. 다음 수형도를 보자. (2)에서 NP1은 John과 S를 제외한 다른 모든 마디를 성분통어한다. NP1을 관할하는 최초의 분지마디인 S가 VP, V, NP2를 ..
-
Bound pronoun [結束代名詞]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1:55
대용어(anaphor)는 독립적인 지시를 갖지 못하고, 선행사를 가짐으로써 지시가 결정된다. 다음과 같은 VP 생략(VP-ellipsis)에서 지시는 통사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1) A: Do you think they'll [like me]i? B: I'm sure they will _____i. _____ 부분은 [like me]i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like you]로 해석되는데, 이것은 _____가 [like me]를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like x]를 대신하여 x가 화자로 해석되는 것 같다. do도 동사구를 대신하는 대용어인데, 역시 같은 문제가 생긴다. 다음 예를 보자. (2) Johni read hisi mail and Max did too (2)는 John이 자기(John..
-
Antonym [反意語]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4:10
반의어란 단어간의 의미 대조(semantic opposition)를 나타내는 것으로, 포의어(hyponym), 유의어(synonym)와 함께 단어의 의미 관계의 기본을 이룬다. 넓은 의미에서 반의어란 의미 대조를 포함하며, 그 특성에 따라 분류된다. 대조를 이루는 어휘의 수가 둘이냐, 또는 그 보다 많으냐에 따라 이원적 반의어(binary opposition)와 다원적 반의어(multiple opposition)로 나뉜다. 이원적 반의어는 다시 상보적(complementary) 반의어, 모순적(contradictory) 반의어, 상대적(perspectival) 반의어, 방향적(directional) 반의어로 나뉜다. 상보적 반의어는 한 쪽을 부정하는 다른 쪽이 되는 관계로서, 예를 들어 '홀수 짝수'가 ..
-
Antecedent [先行詞]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4:10
대명사(pronoun)나 재귀대명사(reflexive pronoun), 상호대명사(reciprocal pronoun) 등은 스스로 지시대상을 갖는 것이 아니라, 다른 요소, 여기서는 명사구와 공지표(coindex)됨으로써 그 지시대상이 결정된다. 선행사와 대용어는 결속조건(binding condition)을 지켜야 하는데, 대명사는 지배범주(governing category) 안에서 결속되어서는 안 되므로, 그 선행사는 지배범주 밖에 있어야 한다. 반면에 재귀대명사와 상호대명사는 지배범주 안에서 결속되어야 하므로, 그 선행사는 지배범주 안에 있어야 한다. 결속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도 선행사를 언급해야 하는데, 선행사가 대용어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전자와 후자가 서로 공지표되어야 하고, 전자가 후자를 성분통..
-
Antecedent government [先行詞支配]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4:09
공범주원리(Empty Category Principle, ECP)의 두 조건 중의 하나. 공범주원리에 따라 흔적은 엄밀지배(proper government)되어야 하는데, Chomsky (1981:250)는 지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A governs B iff (a) =X0 or is coindexed with C (b) where X is a maximal projection, if X dominates C then X dominates A (c) A c-commands C (2) A properly governs B iff A governs B [and A =/= AGR] (1a)에서 지배어(= )가 핵(X0)이면 어휘지배(lexical government)라 하고, 지배자가 공지표에 의..
-
Anaphoric index [代用指標]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4:06
Chomsky (1980)는 대용어가 아닌 명사구의 지표는 지시지표(referential index)와 대용지표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알파이동으로 이동되어 지표를 갖는 명사구는 그 지표를 지시지표로 갖고, 이동되지 않은 명사구는 2 이상의 정수를 지시지표로 갖는다. 명사구 A의 대용지표는 A를 성분통어하는 모든 명사구의 지시지표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John(2) thinks that Mary (3,{2}) loves him(4,{2,3})에서 John, Mary, him은 각각 2, 3, 4를 지시지표로 갖고, Mary는 John에 성분통어되어 그 지시지표를 대용지표로 갖는다. 마찬가지로 him은 John과 Mary에 성분통어되어 2와 3을 대용지표로 갖는다. 이때 대용지표는 상이적 지시(disj..
-
Anaphora [照應]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4:05
언어표현이 자체의 의미 또는 지시대상을 갖지 못하고, 앞에서 언급된 표현으로부터 해석을 얻는 문법관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대명사 it가 3인칭단수명사를 가리키는 것이 그 한 예이다. 이와 대비되는 것으로 후방조응(cataphora)은 I said this; Here is the 9 o'clock news의 경우처럼 앞의 언어표현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뒤에 나오는 언어표현을 가리킨다. 정관사 the의 경우 조응적으로 쓰이는 경우와 후방조응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1) John bought a TV and a video recorder, but he returned the video recorder. (2) The wines that France produces are among the best in t..
-
Anaphor [代用語]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4:03
himself와 같은 재귀대명사(reflexive pronoun)와 each other와 같은 상호대명사(reciprocal)처럼 그 자체로서 지시대상을 갖지 못하고 해석을 선행사(antecedent)에 의존하는 NP를 가리킨다. (1)은 결속(binding)의 한 예로, 재귀대명사와 상호대명사의 지시는 공지표(coindexing)로 나타낸다. (1) Billi knows himselfi too well (2) The meni thought that pictures of each otheri were on sale 이러한 결속관계는 일정한 국부조건(locality condition)을 지켜야 하는데, 대용어는 적절한 위치에 있는 선행사를 가져야 한다. (3)의 경우에 대용어 himself가 가까운 선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