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
Middle verb [中間動詞]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58
본래 middle이란 용어는 그리스어나 산스크리트어문법에서 사람이나 동물이 주어가 되어 동사의 동작을 받을 때, 동사의 형(form)이나 태(voice)를 지칭하는 명칭이었다(cf. Gk louomai 'I wash myself'). 그러나 Lees (1960)는 목적어를 갖는 타동사가 수동태로 쓰일 수 없는 경우, 이 동사를 중간동사(middle verb)라 불렀으며, have, cost, weigh, resemble, lack 등이 이에 속한다.
-
Middle construction [中間構造]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56
수동태와 능동태의 두 성격을 갖는 구조로 의미상 수동태이지만, 구조는 능동태이다. (1) a. German cars handle easily. b. Our dog food cuts and chews like meat. 여기에서 주어는 의미상 타동사의 수동자(patient)이지만, 수동태와 달리 동사 가 능동형이다. 중간구조에 쓰이는 동사는 항상 타동사이므로, 동사가 행위자 (agent)와 수동자를 갖지만, 표면적으로는 하나의 명사구만을 갖는다. 즉, 주어가 의미적으로 수동자이지만, 행위자와 관련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중간 구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2)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수동태와 달리 행위자가 표면에 나타날 수 없다. (2) a. The car is handled easily b..
-
Metalanguage [上位言語]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55
분석 또는 기술되는 언어인 대상언어(object language)와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어떤 언어를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를 말한다. 만약 영어를 기술하기 위해 한국어를 사용한다면, 영어는 대상언어가 되고, 한국어는 상위언어가 된다. 만약 영어를 영어로 기술하면, 상위언어과 대상언어가 모두 영어가 된다. 일반적으로 의미론을 논하는 데 사용되는 상위언어로는 집합론(set theory), 내포논리(intensional logic) 등이 있다.
-
Logical relation [論理關係]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54
일상생활에서 여러 가지 관계가 성립하는데, 예를 들어, 'a는 b의 친구이다', 'a는 b의 자식이다' 등에서 a와 b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성립한다. 이러한 관계를 논리학의 입장에서 기준을 설정하고 정리, 분리한 것을 논리관계라 한다. 1. 관계에 참여하는 항의 수에 따른 분류. 위에 든 예는 모두 a와 b 둘 사이의 관계인데, 이를 2항관계(dyadic relation)라 하며, 여기에 쓰이는 술어를 2항술어(dyadic predicate)라 한다. 'a가 b에게 c를 준다'는 3항관계(triadic relation)라 하며, 논리적으로는 4항관계, 5항관계 등이 가능하지만, 자연언어를 취급하는 경우에 4항 이상이 관계하는 경우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n항관계(n-adic relation)라 한다. 특..
-
Lexical category [語彙範疇]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51
(1) Chomsky (1965: 74)의 용어. 범주는 그 종류에 따라 어휘범주와 구범주로 나누는데, 어휘규칙(lexical rule)인 A → Z에서 A를 어휘범주라 한다. N, V, A 등을 어휘범주라 하는데, Det, Aux 등은 어휘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2) Chomsky (1981: 48)의 용어. 범주를 자질의 집합으로 보고, 범주를 [±N, ±V]로 나타낸다. N은 [+N, -V], V는 [-N, +V], A는 [+N, -V], P는 [-N, -V]로 나타낸다. 이 가운데 P를 제외한 N, V, A는 [+N] 또는 [+V]를 가지는데, 이들 범주를 어휘범주라 한다. 어휘범주는 대체로 같은 보어구조를 가지며, 공범주원리(Empty Category Pinciple)에서 고유지배어가 된다.
-
Individual/Stage level predicate [개체적/단계적 술어]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50
모형이론적 의미론에 기초하여 Carlson (1977)이 제시한 개념으로 대상 또는 종류를 시간과 공간에 따라 표시한다. 다음 예문에서 술어는 주어 John과 dogs의 일시적 특성을 나타내준다. (i) a. John was running b. Dogs were running (i)에서 술어는 주어의 일시적 특성을 나타내는 데 반해, (ii)에서 술어는 개체의 특성을 나타낸다. (ii) a. John is intelligent b. Dogs are smarter than cats 즉, John이 달리는 것은 John의 일시적 속성이며, John이 intelligent한 것은 John의 지속적 속성이다. 이러한 술어의 특성에 따라 (i)을 단계적 술어, (ii)를 개체적 술어라 한다.
-
Generalized binding theory (GBT) [一般結束理論]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44
Aoun (1981, 1985, 1986)의 용어. Chomsky (1981, 1982)의 결속이론(binding theory)을 일반화하여 공범주원리(ECP)로 설명하는 현상까지도 설명하기 위해 결속이론을 일반화하였다. Chomsky의 결속이론에 따르면, 명사구가 남긴 흔적은 대용어(anaphor)이며, 의문사구가 남긴 흔적은 변항(variable)이므로 서로 다른 결속조건을 지켜야 한다. 그러나 명사구이든 의문사구인든 이동할 때 하위인접조건(subjacency condition)을 지켜야 하며, 또한 그 흔적이 공범주원리를 지켜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어휘지배(lexical government)와 선행사지배(antecedent government)라는 상이한 지배가 공범주원리라는 하나의 원리에 포함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