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
Transformation [變形]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7. 22:49
Harris가 문장 상호간의 분포 관계, 언어와 문화의 상관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도입한 개념으로, 그는 담화분석에서 동등한 환경에서 나타나는 요소를 동등류(equivalent class)라 하고, 동등류의 상호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해 변형이란 개념을 도입했다. 그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A라는 형식의 문장과 B라는 형식의 문장이 있어서 서로 다른 구조에 기인한 차이를 제외하고는 A와 B가 같은 형태소를 가지면 A와 B는 동등하다. 예를 들어 John plays the piano라는 문장에 대해 The piano is played by John이라는 문장이 있으므로 N1 V N2가 N2 is Ved by N1과 동등하다. 그러나 N1 V N2와 N2 V N1이 서로 다른 것처럼, N1 is Ved by N1은..
-
trace[痕迹]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7. 22:48
어떤 구성소가 이동을 할 때 원래의 자리에 음성적으로 실현되지 않는 동일한 범주를 남기는데 이것을 흔적(trace)이라 한다. 이 흔적은 원래의 구성소와 공지표(co-index)된다. 다음 예에서 t는 흔적을 나타낸다. (1) Johni was kissed ti (1)에서 이동된 John은 NP인데, 다음 예에서처럼 WH가 이동되기도 한다. (2) Whoi did Mary kiss ti? 이처럼 이동변형이 흔적을 남긴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다음 예를 보자. (3) Who do you want to win? (3)은 중의성을 갖는데 다음 두 가지 뜻을 갖는다. (4) Whoi do you [ti to win]? (5) Whoi do you [PRO to win ti]? 그런데 소위 다음과 같이..
-
Tough-movement [tough-移動]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7. 22:47
내포문의 목적어를 상위문의 주어 자리로 이동시키는 변형규칙. 이에 속하는 것으로는 easy, difficult, impossible, (un)interesting , amusing 등의 형용사와, joy, delifht, pleasure, a bitch, a breeze, a cinch, a snap 등의 명사가 있다. 이 규칙은 (1a)를 (1b)로 바꿔준다. (1) a. It is easy to please John b. John is easy to please 다음 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tough' 구문에서 '형용사 + 부정사'가 하나의 구성소를 이룬다. (2) How easy to please John is! 이 구문이 이동변형에 의해 도출되는지, 혹은 삭제변형에 의해 도출되는지에 대해..
-
Topicalization [話題化]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7. 22:46
Ross (1967:209)는 문장 (1)이 문장 (2)로부터 도출되도록 규칙 (3)을 제시하고 화제화라 불렀다. (1) This book, I really like (2) I really like this book (3) X―NP―Y 1 2 3 2# [1 3] 화제화는 강조하기 위한 요소를 문두로 이동시키는데, Ross의 분류에 따르면 절단규칙(chopping)에 속하여 복합명사구제약, 문장주어제약, 왼쪽가지조건 등의 제약을 지켜야 하지만, 재배열변형(reordering transformation)으로서 상향제한(upward bound)을 지키지 않는다. (4) *This hat, I believe the claim that he was wearing (5) Beans, I don't think you..
-
To-contraction [to 縮約]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7. 22:46
영어에서 want와 같은 동사 뒤에 to가 인접하여 나타날 때 want+to가 wanna처럼 두 요소가 축약되어 발음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to 축약이라 한다. want 외에도 going, have, ought, used, got, supposed 등이 to와 함께 나타나면 축약이 가능하다. 그러나 다음 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want와 to가 인접한다고 해서 항상 축약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1) a. who do they want to visit? b. who do they want visit? (2) a. who do they want to visit Paris? b. *who do they wanna visit Paris? Bresnan (1971)은 모든 규칙의 적용순서가 결정되어 있다는 ..
-
Table of coreference [同一指示表]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7. 22:45
해석의미론을 견지한 Jackendoff (1972)는 의미표시를 네 가지로 분류하는데, 문장에서 동사가 나타내는 행위자, 동작, 방향, 대상 등의 개념을 표현하는 기능구조(functional structure), 실세계의 상황과 문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서법구조(modal structure), 명사구 간의 동일지시 관계를 나타내는 동일지시표, 그리고 문장에서 신정보와 구정보를 나타내주는 초점과 전제(focus and presupposition) 등이다. 표준이론에서는 대명사와 재귀대명사는 일반 명사구에 변형규칙을 적용하여 얻어내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해석의미론에서는 대명사가 심층구조에 이미 생성되어 있으며, 해석규칙에 의해 동일지시가 가능한가를 확인한다. 이처럼 동일지시 관계를 의미규칙으로 간주하..
-
Subjacency Condition[下位引接條件]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7. 22:44
하위인접조건은 이동에 대한 국부성 조건(locality condition)으로 소위 Ross의 섬제약(island constraint)을 통합시켜 일반화한 조건이다. 하위인접조건에 따르면 한 번의 이동에서 하나 이상의 경계마디(bounding node)를 넘어서 이동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경계마디는 S와 NP로 보며, 언어에 따라 S 대신 S-bar가 경계마디를 이루기도 한다. (1) CNPC 현상 *Whoi [S did you believe [NP the rumor [S' ti that [S John kissed ti]]]? (1)에서 who가 내포문의 COMP를 거쳐 이동하는데 이때는 경계마디인 S 하나만을 거쳐 이동하여 문제가 없지만, COMP에서 상위문의 COMP로 이동할 때 경계마디인 S와..
-
Register(언어사용역)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7. 22:43
문체론과 사회언어학, 언어학습/교수법 등의 분야에서 '문체'와 같은 의미로 쓰는 개념으로 사회적 환경에 따른 모든 유형의 변이형을 가리킨다. 사회언어학에서는 어떤 주제와 관한 논의에서 배경지식이나 가정을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상황적 변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영국영어를 쓰는 의사들은 She's got cancer 대신 She's got C.A.라고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언어사용역은 흔히 어휘에서 구별된다. 즉,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 단어를 쓰거나, 특별한 의미로 쓰는 경우가 많다. 특정한 언어사용역과 관련된 많은 어휘들은 전문적, 혹은 준전문적 용어이다. 따라서 saprophyte, dicotyledon, Rosaceae와 같은 용어는 식물학 언어사용역에 속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음악에서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