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ull operator construction [零運用子構文]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1. 22:51
Browning (1987)에 따르면 영운용자가 나타나는 구문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1) a. 공백(gap)을 남긴다.
b 하위인접조건(subjacency condition)을 지킨다.
c. 영운용자의 흔적이 공범주원리(ECP)와 결속조건 (C)를 지킨다.
부정사관계문인 (2)는 (1)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2) a. I found a book [Oi [for you to read ti]]
b. *I found a book [Oi [for you to insist on the principle that John should read ti]]
c. *A man [Oi (for us) to convince Mary that ti should bet the job]
(2b)는 NOC가 하위인접조건을, (2c)는 NOC가 공범주원리를 지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NOC의 이러한 특징은 의문사구와 동일한 것이지만, 차이점도 있다.
(3) a. ?I found a book Oi for you to convince Bill that I wrote ti
b. ?*I wonder whoi to persudade Mary that I took ti to the party
이처럼 시제문에서 영운용자가 이동되는 경우 어색한 문장이나 비문이 되는데,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의문사구이동은 정문이 된다.
(4) Whoi did you persuade Mary to tell John that we visited ti?
Chomsky (1980)는 영운용자가 이동될 때 형성되는 영운용자연쇄를 포함하는 최소의 절이 술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반면에 Browning (1987)은 이 술부와 영운용자연쇄의 선행사인 NP를 연결시키는 술부규칙(rule of predication)을 가정하였다. Browning은 술부의 핵과 주어 사이에 의미역관계가 형성되지 않을 때 일치연쇄에 의해 주어와 연결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5)에서 NP와 CP는 주어-술어 관계에 의해 일치하는데, C와 CP가 일치하고, 또한 C와 O가 지정어-핵 일치에 의해 일치한다. 이때 NP와 SPEC의 O가 일치연쇄를 형성하는데, 다음과 같이 형식화된다.
(6) a. 주어가 술부의 외부의미역(external theta-role)을 방출시키거나,
b. 주어가 술부에 포함되어 있는 연쇄와 일치한다.
(7)의 부정사관계문 IP는 (6b)에 의해 주어-술부 관계를 인가받게 된다.
(7) [NP a man [IP PRO to fix the sink]]
이를 (8)과 비교해 보자.
(8) the man [CP Oi [IP I know [CP t i [IP Bill likes ti]]]
(8)에서 NP인 the man과 연쇄 (Oi, t i, ti) 사이에 주어-술부관계가 형성된다.'언어학 > 언어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adigmatic relation [系列關係] (0) 2022.01.01 Opaque context [不透明脈絡] (0) 2022.01.01 Noun phrase complement [名詞句補文] (0) 2021.12.31 Minor movement rule [小移動規則] (0) 2021.12.31 Minimal major category [最小大範疇] (0)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