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Across-the-board rule카테고리 없음 2021. 12. 30. 13:09
Ross (1967)의 용어로 Williams (1978)가 형식화한 개념. (1a)에 접속사삭감(conjunction reduction)을 적용하면 (1b)가 된다. (1) a. Tom picked these grapes, and I washed these grapes, and Suzie will prepare these grapes b. Tom picked, and I washed, and Suzie will prepare, these grapes 접속사삭감 변형은 등위접속된 공통 요소를 왼쪽 또는 오른쪽에 상위부가(Chomsky-adjunction)하고, 원래의 마디를 삭제하는 규칙으로 다음과 같이 형식화할 수 있다. (2)에 따라 (3b)가 비문으로 판정된다. (3) a. Tom picked th..
-
Accessibility hierarchy [接近位階]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07
관계문법(relational grammar)에서 명사표현(nominal entity)이 갖는 상호간의 선형적 의존관계이다. 상호 의존관계는 통사규칙의 적용에 역향을 미친다. 위계에서 왼쪽에 있는 요소는 오른쪽에 있는 요소보다 통사규칙이 쉽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주어는 직접목적어보다 접근성이 높으며, 직접목적어는 간접목적어보다 접근성이 높다. 이러한 위계는 관계절형성, 재귀대명사화 등에 적용을 시도했지만, 다른 구조에서도 이러한 원칙이 적용될 수 있는지는 불확실하다.
-
Acceptability [容認性]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06
원어민은 주어진 언어자료가 자신의 언어에서 용인되는 정도에 대한 판단을 가지는데, 이를 용인성이라 한다. '용인되는 발화'는 허용되는 발화이며, 정상적인 발화이다. 실제로 발화의 용인성을 결정하는 데는 많은 문제가 있으며, 원어민도 그 판단이 서로 다르다. 그 이유는 사람마다 지역적, 사회적 배경이 서로 달라서 모국어에 대한 직관이 다르기 때문이다. 하나의 발화가 어떤 방언에서는 정상적이지만, 어떤 방언에서는 비정상적이다. 또 하나의 요인으로 '옳고 그름'에 대한 기준을 들 수 있다. 규범문법에 익숙한 사람은 I will go tomorrow 대신에 I shall go tomorrow라 써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언어학자의 입장에서는 두 문장 모두 수용가능한데, 그 이유는 두 문장 모두 실제로 사용되기..
-
Absorption [吸收]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03
Higginbotham & May (1981), May (1985)의 용어. 여러 개의 양화사나 의문사가 마치 하나의 양화사나 의문사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하는 규칙이다. 다음의 교차결속(cross-binding)을 보자. (1) Every pilot who shot at it hit some MIG that chased him (1)에 양화사인상(quantifier raising)을 적용하면, 다음 두 개의 LF가 가능하다. (2) a. [[every pilot who shot at it]i [[some MIG that chased him]j [ti hit tj]]] b. [[some MIG that chased him]j [[every pilot who shot at it]i [ti hit tj]]]..
-
Absolute barrier [絶對障壁]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02
격할당의 한 조건으로서 지배(government)를 최소성분통어(minimal c-command)로 정의할 경우에 John ran towards me에서 me를 지배하는 요소는 ran이 아니라, me를 가장 가까이서 성분통어하는 towards이다. 그렇다면 Many people are baffled by linguists' theories에서 과연 by가 linguists를 지배하느냐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만약 전치사 by가 linguists를 지배한다면 당연히 목적격이 되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속격을 받고 있다. 여기서 PP를 수형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PP / P NP1 | / by NP2 N | | linguists' theories NP1을 가장 가까이서 성분통어하는 요소는 P인 by..
-
A-over-A Principle [윗마디 優先原理]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2:38
Chomsky (1964, 1968)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Ross (1967)에 의해 여러 제약으로 재분류된 원리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다음과 같은 형태의 구조에서 범주 A에 변형규칙이 적용되면, [S ... [A ...]A ...]S 가장 위에 있는 A에 적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2a)에 의문변형이 적용되면 (2b)와 같은 비문이 도출된다. (2) a. He believed the claim that John tricked the boy b. *Who did he believe the claim that John tricked ____? (2b)가 비문인 이유는 NP인 who가 NP인 [the claim that John tricked ___]로부터 이동되었기 때문이다. 다음 예는 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