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Affix hopping [接辭뛰기]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55
접사이동(affix movement), 접사화(affixation) 등으로 불리는 규칙으로, 접사를 동사에 부가하는 의무규칙이다. 접사뛰기가 적용되는 접사에는 완료의 -en, 진행의 -ing, 시제의 Pres, Past가 있는데, 이러한 접사가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법조동사(Modal)나 동사에 부가된다. 접사뛰기에 필요한 구구조규칙 (2)로서 John will have been eating apples는 다음과 같은 수형도를 갖는다. (3)에 접사뛰기를 적용하면 (4)가 된다.
-
Affect-α [알파處理]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28
Lasnik & Saito (1984)가 공범주원리를 다루면서 제안한 이론으로서, 그들은 다음과 같은 틀을 제시한다. 그들은 알파이동(Move- )을 없애고, 그 대신에 알파처리를 도입하는데, 알파처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2) Do anything to anything. (2)에 따르면 어떤 요소에든 어떤 변형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모든 요소가 삭제, 삽입,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이 다. 물론 이러한 변형은 모두 다른 원리의 지배를 받아야 하는데, 예를 들어 투영원리(projection principle) 를 지켜야 한다. 그들의 공범주원리에 따르면, 모든 흔적은 를 할당받아야 하는데, 논항의 감마할당은 표구조에서 이루어지 고, 부가어의 감마할당은 논리형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든 부가어의 ..
-
Adjunction [附加]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14
변형규칙(transformation)은 하나의 구구조표지(Pmarker)를 다른 구구조표지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기본적인 변형규칙에는 이동(movement), 삭제(deletion), 삽입(insertion)의 세 종류가 있다. 그 가운 데 이동변형은 부가와 대치(substitution)의 두 종류가 있다. 대치는 구구조규칙에 의해 생성된 구조에 어떠한 변화도 일으키지 않고 단지 어떤 종단마디(terminal node)를 다른 종단마디로 바꾼다. 따라서 이동되는 요소는 구구조규칙에 의해 이미 심층구조에서 생성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다음의 인상(raising)을 보자. (1) [ e is likely [S Timothy to come] (2) [ Timothy is likely [S t..
-
Adjunction constraint [附加制約]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13
Chomsky (1986b:6)의 용어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부가는 비논항인 최대투사에만 가능하다. (Adjunction is possible only to a maximal projection (hence, X") that is a nonargument.) (1)에 따라 NP나 CP(=)가 논항일 때, 이들 범주에 부가가 허용되지 않는다. 반면에 C의 보충어인 IP(=S)와 I의 보충어인 VP는 논항이 아니므로 부가를 허용한다. 부가조건은 이동에 대한 조건으로서 심구조에서는 논항에 부가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계절이나 동격절 등은 핵 NP가 논항으로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심구조에서 형성되므로 부가조건과는 관계없이 부가구조를 가질 수 있다.
-
Adjunct [附加語]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12
엑스바이론(-theory)에서 핵(head), 보충어(complement), 지정어(specifier)와 함께 구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부가어는 수식어(modifier)의 일종으로 핵의 뒤에 나타나는 요소이다. 수식어 가운에 핵 앞에 오는 요소를 한정어(attribute)라 한다. 모든 대범주(major category)는 다음과 같이 부가어를 가질 수 있다. (1) a. NP: a student of physics with long hair b. VP: buy a book at the store c. AP: fond of Mary to some extent d. PP: in the wrong completely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가어는 보충어보다 뒤에 오는데, 이것은 격표시되..
-
Adjunct condition [附加語條件]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11
다음 두 문장에서 의문사구가 PP로부터 이동하였다. (1) a. *Which class did you fall asleep during t? b. Which table did you put the book on t? P의 보충어인 NP가 (1a)에서 이동되지 못하는 반면 (1b)에서는 이동된다. 두 개의 PP가 서로 다른데, (1a)의 PP는 부가어인 반면, (1b)의 PP는 보충어이다. 두 구조의 차이는 (2)에 의해 설명된다. (2) 부가어조건 부가어로부터 어떤 요소도 이동될 수 없다. 부가어조건은 부사구뿐만 아니라 부사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2) a. *Who did Mary cry after John hit t? b. Who do you think that John hit t? (2a)에서 a..
-
Adjacency condition [隣接條件]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11
격표시가 되는 보충어가 그렇지 않은 보충어보다 핵에 가까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다. 이에 따라 만약 보충어인 NP와 가 있을 경우에 NP가 S'보다 앞에 와야 한다. Stowell (1981)은 인접조건에 따라 영어의 어순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구구조규칙이 필요 없다고 주장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VP → V NP 라는 구구조규칙은 필요 없는데, 그 이유는 영어는 선핵언어(head-first language)로서 VP의 핵인 V가 가장 먼저 나타나고, 보충어인 NP와 가운데 격을 받아야 하는 요소는 NP이므로 격을 받지 않아도 되는 보다 앞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
Adequacy [妥當性]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09
문법의 적절성의 정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서, 외적 타당성(external adequacy)은 문법이 자료를 얼마나 잘 설명해주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며, 내적 타당성(internal adequacy)은 간결성과 같은 문법의 특성에 대한 판단이다. 약한 타당성을 갖는 문법은 문장을 제대로 생성해내는 문법이며, 강한 타당성을 갖는 문법은 문장의 구조를 정확히 명시해주는 문법이다. 이에 따라 Chomsky (1964, 1965)는 문법을 타당성의 정도에 따라 관찰적 타당성(observational adequacy), 기술적 타당성(descriptive adequacy), 설명적 타당성(explanatory adequacy)의 세 단계로 나눈다. 먼저 관찰적 타당성을 갖는 문법은 모든 그리고 오직 문법적인 문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