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Anaphora [照應]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4:05
언어표현이 자체의 의미 또는 지시대상을 갖지 못하고, 앞에서 언급된 표현으로부터 해석을 얻는 문법관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대명사 it가 3인칭단수명사를 가리키는 것이 그 한 예이다. 이와 대비되는 것으로 후방조응(cataphora)은 I said this; Here is the 9 o'clock news의 경우처럼 앞의 언어표현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뒤에 나오는 언어표현을 가리킨다. 정관사 the의 경우 조응적으로 쓰이는 경우와 후방조응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1) John bought a TV and a video recorder, but he returned the video recorder. (2) The wines that France produces are among the best in t..
-
Anaphor [代用語]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4:03
himself와 같은 재귀대명사(reflexive pronoun)와 each other와 같은 상호대명사(reciprocal)처럼 그 자체로서 지시대상을 갖지 못하고 해석을 선행사(antecedent)에 의존하는 NP를 가리킨다. (1)은 결속(binding)의 한 예로, 재귀대명사와 상호대명사의 지시는 공지표(coindexing)로 나타낸다. (1) Billi knows himselfi too well (2) The meni thought that pictures of each otheri were on sale 이러한 결속관계는 일정한 국부조건(locality condition)을 지켜야 하는데, 대용어는 적절한 위치에 있는 선행사를 가져야 한다. (3)의 경우에 대용어 himself가 가까운 선행사..
-
Analyzability [分析可能性]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4:02
변형의 영역, 즉 변형이 적용될 수 있는 구구조표지의 집합을 규정하기 위해서는 그 변형이 적용되는 구구조표지가 충족시켜야 하는 일정한 구조적 조건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변형규칙의 구조기술(structural description: SD)은 기호열 연쇄(sequence of strings)로 기술되는데, 변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기호열이 분석가능해야 한다. 만약 기호열이 변형규칙의 구조기술을 충족하면, 그 기호열은 분석가능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수동변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NP―Aux―V―NP와 같은 구조기술을 충족해야 하는데, the boy is kicking the ball은 (the boy, is, kicking, the ball;NP, Aux, V, NP)로 분석될 수 있다. 반면에 the bo..
-
Ambiguity [重義性]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4:02
언어표현이 두 가지 이상으로 해석되는 것을 중의성이라 하며, 중의적 표현이라 하더라도 문맥에 따라 중의성이 해소되기도 한다. 그러나 He didn't hit the dog과 같은 문장은 '그가 개를 때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을 때렸다는 것인지' 혹은 '그가 개를 때린 것이 아니라 쓰다듬었다는 것이지' 의미가 불명료한데, 이러한 경우는 중의성과 구별하여 모호성(vagueness)이라 한다. 중의성은 그 유형에 따라 세 가지로 구별되는데, 어휘 자체가 사전적 의미를 둘 이상 가진 경우를 어휘적 중의성(lexical ambiguity)이라 하고, 통사적 구조의 중의성에 따른 것을 구조적 중의성(structural ambiguity)이라 하며, 마지막으로 양화사의 작용역(scope)의 상호 작용에 의한 것을 작..
-
AGR [一致素]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59
Chomsky (1981b)는 S→NP Aux VP라는 구구조규칙 대신에 (1)과 같은 구구조규칙을 두는데, (1)은 엑스바식형의 예외로 간주되었다. (1) S→NP INFL VP (1)에서 INFL은 [ Tense]와 M(odal)을 관할하는데, INFL이 [+Tense] 자질을 가지면 동시에 주어-동사 일치를 위한 자질 AGR(eement)를 갖게 되며, INFL이 [-Tense] 자질을 가지면 'to'를 갖게 된다. 이때 주어-동사 일치를 위한 일치소 AGR는 성, 수, 인칭 등이 표시된다는 점에 있어서 PRO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어 [+N, -V]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AGR는 주어에 주격을 할당하며, 또한 결속이론에서는 대주어(SUBJECT) 역할을 한다. 한편 Chomsky (1..
-
Agent postposing [行爲者後置]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0. 13:56
수동변형에서 주어를 by-구의 NP 자리로 이동시키는 규칙. 수동변형을 일반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개념으로, 수동변형을 하나의 독립된 변형으로 보지 않고 행위자를 by-구의 NP 자리로 이동시키는 행위자후치 (1)과 목적어를 주어자리로 이동시키는 명사구전치(NP-preposing) (2)로 분리시킨다. 이러한 행위자후치는 문장뿐만 아니라, 명사구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다음은 명사구에서 일어난 행위자후치이다. (3)의 표면구조는 the destruction of the city by the enemy로서 여기에 명사구전치를 적용하면 the city's destruction by the enemy이다. 다만 문장에서와 달리 명사구에서는 명사구전치가 의무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그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