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unctional relatedness [機能的 關聯性]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40
Freidin(1978)의 용어로 기능적 유일성(functional uniqueness)과 함께 논리형태에 대한 조건이다. 이 조건에 따르면 의미적 내용을 갖는 어휘가 논항위치를 차지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도출은 제외되어야 한다.
(1) a. [e was reported [Fred to have kissed Mary]
b. [Fredi was reported [ti to have kissed Mary]
c. [Fredi was reported [Maryi to have kissed tj]이러한 도출을 배제하기 위해 Freidin(1978: 524)은 다음 조건을 둔다.
(2) 흔적삭제금지: 결속된 흔적은 삭제되어서는 안 된다.
적정결속조건(condition on proper binding)에 따라 흔적은 선행어를 가져야 하고, 뿐만 아니라 선행어에 성분통어되어야 한다. 그런데 만약 흔적을 삭제할 경우에 적정결속조건을 어기게 되므로 흔적을 삭제해서는 안 된다.
적정결속조건과 흔적삭제금지는 다음과 같은 도출도 막아준다.
(3) a. [S [NP e] [VP was given [NPi Bernie] [NPj a camera]]]
b. [S [NPi Bernie] [VP was given [NPi e] [NPj a camera]]]
c. [S [NPi Bernie] [VP was given [NPj a camera] [NPj e]]]만약 이러한 조건이 없다면, 위의 도출을 허용하게 되고, (1)의 Fred와 (3)의 Bernie의 심층구조 문법관계, 즉 의미역을 알 수 없게 된다. 즉 표면구조만을 보게 되면 주절의 주어가 술어와 어떤 문법관계도 갖지 못하게 된다. 자유논항이 허용되지 않는 것은 (4)에서 볼 수 있는 바오 같이 매우 일반적인 조건이다.
(4) a. *The report was published the book yesterday
b. *Harry seems that Louise didn't like him(4)에서 The report와 Harry는 의미역이 있는 논항위치를 차지하지 못하여 자유논항이 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흔적의 결속은 어휘적 논항이 흔적의 자리에서 의미역을 받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조건화하면 다음과 같다.
(5) a. 기능적 관련성: 어떤 문장 S에서, 의미적 내용을 갖는 각 어휘 NP는 S의 논리형태에서 논항위치를 차지해야 한다.
b. 기능적 유일성: 어떤 문장 S에서, 모든 어휘적 NP는 S의 논리형태에서 주어진 술어의 논항위치를 차지해야 한다.(5a)에 따르면, 논리형태에는 자유논항이 있어서는 안 되며, (5b)에 따르면 논항이 두 개의 논항위치를 결속할 수 없다. 즉 (4)에서 The report와 Harry는 자유논항으로 기능적 관련성을 어기며, (3)에서 a camera는 두 개의 논항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기능적 유일성을 어긴다. 이러한 조건은 표면구조의 NP 위치와 논리형태의 논항위치 사이에 일대일의 대응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언어학 > 언어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llocutionary force (0) 2021.12.31 Generalized binding theory (GBT) [一般結束理論] (0) 2021.12.31 Functional category [機能範疇] (0) 2021.12.31 Function [函數] (0) 2021.12.31 Felicity condition [적정조건] (0)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