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command [성분통어]언어학/언어학용어 2021. 12. 31. 22:00
constituent command의 약칭. 성분통어는 한 수형도 안에 나타나는 마디(node) 간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단히 말하자면, A라는 마디는 자매마디인 B와 B가 관할(dominance)하는 마디를 모두 성분통어한다. 이를 형식화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음 조건이 충족되면, A가 B를 성분통어한다.
a. A를 관할하는 첫 번째 분지마디가 B를 관할하고,
b. A가 B를 관할하거나, B가 A를 관할하지 않는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두 개의 자매마디는 서로 성분통어하게 되며, 그 하위마디도 성분통어하게 된다. 다음 수형도를 보자.
(2)에서 NP1은 John과 S를 제외한 다른 모든 마디를 성분통어한다. NP1을 관할하는 최초의 분지마디인 S가 VP, V, NP2를 관할하기 때문에, NP1이 VP, V, NP2를 성분통어한다. NP1이 John과 S를 성분통어하지 못하는 이유는 (1b)의 규정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NP2가 성분통어하는 유일한 마디는 V이다. VP와 S는 (1b)에 의해 성분통어가 허용되지 않으며, NP1은 (1a)에 의해 성분통어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NP1이 NP2를 성분통어하는 반면, NP2는 NP1을 성분통어하지 못한다.
정의에 따라 비분지마디는 어미마디와 똑 같은 성분통어 관계를 갖게 되는데, 수형도 (2)에서 John을 관할하는 첫 번째 마디 NP1이 비분지마디이므로 John과 NP1은 서로 같은 마디만을 성분통어한다.
성분통어는 순수히 구조적인 개념으로 통사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결속이론(binding theory)에서 대용어(anaphor)는 선행사에 성분통어되어야 하고, 격이론(Case theory)에서는 동사 또는 전치사와 같은 격할당자가 NP와 같이 격을 받는 요소를 성분통어해야 한다.'언어학 > 언어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racteristic function [특성함수] (0) 2021.12.31 Cataphora[역조응/후조응] (0) 2021.12.31 Bound pronoun [結束代名詞] (0) 2021.12.31 Antonym [反意語] (0) 2021.12.30 Antecedent [先行詞] (0) 202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