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Transformational component [變形部]
    언어학/언어학용어 2022. 1. 8. 11:18

    변형생성문법의 모형은 통사부(syntactic component), 음운부(phonological component), 의미부(semantic component)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음운부와 의미부를 해석부(interpretive component)라 하여 생성력과 변형력을 가진 통사부와 구별한다. 통사부는 기저부(base component)와 변형부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부의 구구조규칙(PS rule)과 어휘삽입규칙(lexical insertion rule)은 심층구조(deep structure)를 생성하며, 여기에 변형규칙이 적용되어 표면구조
    (surface structure)가 도출되고, 의미해석규칙이 적용되어 의미표시(semantic representation)가 생겨난다. 또한 표면구조에 음운규칙을 적용하여 음운표시(phonological representation)를 얻는다. 변형부는 변형규칙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론의 변화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졌다. 표준이론(standard theory)에서는 변형부의 변형규칙이 의미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확대표준이론(extended standard theory)에서는 변형규칙이 의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정하게 되었다. 따라서 심층구조뿐만 아니라, 표면구조, 중간구조도 의미해석의 입력부가 되었다. 수많은 변형규칙으로 구성되었던 변형부가 수정확대표준이론(revised extended standard theory)에서는 매우 단순화되어 @-이동(Move-@)만이 남게 되었다. 이러한 변형부의 단순화로 일반화가 가능해져 변형부가 가지고 있던 역할이 다른 형태로 나타났는데, 제약(constraint)과 원리(principle)로 대치되었다. 따라서 변형부의 축소화가 일반적인 경향이며, 심지어 변형부를 완전히 없애려는 시도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