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법/기본영문법
-
[Azar] 일반인 주어의 생략영문법/기본영문법 2021. 12. 26. 19:14
능동문의 주어가 수동문에서는 전치사구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능동문의 주어가 대개 행위자를 나타내므로 전치사 by를 쓴다. This sweater was my by my aunt. 행위자가 중요하지 않거나 분명하지 않을 때 수동태에서 by구는 흔히 생략된다. That sweater was made in Korea. Spanish is spoken in Columbia. That house was built in 1940. Rice is grown in many countries.
-
[Azar] 능동태와 수동태영문법/기본영문법 2021. 12. 26. 19:13
다음 두 문장의 의미는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능동문: Bob mailed the package. 수동문: The package was mailed by Bob. 수동문에서 가능 두드러진 특징은 세가지이다. 첫째, 능동문의 목적어가 수동문의 주어 자리에 온다. Bob mailed the package. ==> The package was mailed by Bob. 둘째, 능동문의 주어가 수동문에서는 전치사 by의 목적어로 나타난다. Bob mailed the package. ==> The package was mailed by Bob. 셋째, 동사는 be + 과거분사의 형태로 바뀐다. Bob mailed the package. ==>The package was mailed by Bob. 보류목적어(reta..
-
[Azar] used to와 would영문법/기본영문법 2021. 12. 26. 19:12
used to는 과거의 습관을 나타낸다. Jack used to live in Chicago. 과거에 잭이 시카고에 살았으며, 현재는 시카고에 살지 않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used to는 과거의 습관, 행위, 상황 등이 있었으며, 현재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be used to는 be accustomed to의 의미이다. Mary is used to cold weather. =Mary is accustomed to cold weather. used to 다음에는 동사의 원형이 오는 반면 be used to 다음에는 동명사가 온다. Jack used to live in Chicago. Mary is used to living in a cold climate. used to와 would는 과거의 ..
-
[Azar] 능력(ability)영문법/기본영문법 2021. 12. 26. 19:11
can은 현재 또는 미래의 능력을 나타낸다. Bob can play the piano. You can buy a screwdriver at a hardware store. can의 부정형은 can't, cannot, can not 등으로 쓰인다. I can't/cannot/can not understand that sentence. could는 과거의 능력을 나타낸다. Our son could talk when he was two years old. could의 부정형은 couldn't, could not이다. They couldn't/could not come to class yesterday.
-
[Azar] 가능성(possibility)영문법/기본영문법 2021. 12. 26. 19:10
현재의 가능성/확실성의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다. Why isn't John in class? He is sick.(100%) He must be sick.(95%) He may/might/could be sick.(50% 이하) 현재의 부정적 가능성/확실성 Sam isn't hungry.(100%) Sam couldn't/can't be hungry.(99%) Sam must not be hungry. (95%) Sam may/might not be hungry. (50% 이하) 과거의 가능성/확실성 She was sick. (100%) She must have been sick.(95%) She may/might/could have been sick.(50% 이하) 과거의 부정적 가능성/확실성 Sam..
-
[Azar] 충고, 제안(advise and suggestion)영문법/기본영문법 2021. 12. 26. 19:08
should와 ought to는 충고를 나타낸다. You should study harder. (=This is a good idea/my advise.) You ought to study harder. (=This is an important responsibility.) had better는 should/ought to와 비슷하지만 좀더 의미가 강하다. 흔히 had better는 경고나 위협을 나타낸다. You had better take care of that cut on your hand soon, or it will get infected. should의 과거는 should + have + pp형을 쓴다. I had a test this morning. I didn't do well on the..
-
[Azar] 의무, 필요(obligation and necessity)영문법/기본영문법 2021. 12. 26. 19:06
must와 have to 모두 필요를 나타낸다. All applicants must take an entrance exam. All applicants have to take an entrance exam. must보다는 have to가 더 널리 쓰인다. must는 have to보다 강한 의미, 즉 긴박감이나 중요성를 나타낸다. I'm looking for Sue. I have to talk to her about our lunch date tomorrow. Where's Sue? I must talk to her right away. I have an urgent message for her. have got to는 구어체에서 have to의 의미로 쓰인다. I have got to go now. I ..
-
[Azar] 요청(request)영문법/기본영문법 2021. 12. 26. 19:05
정중한 요청: may I, could I는 허락을 요청한다. might I도 가능하나 훨씬 정중한 표현으로 잘 쓰지 않는다. May I (please) borrow your pen? Could I borrow your pen (please)? Might I borrow your pen? can I는 informal한 표현이다. Can I borrow your pen? would you나 will you 모두 정중한 요청이며, would you가 더욱 널리 쓰인다. Would you pass the salt? Will you pass the salt? could you도 정중한 요청으로 would you와 비슷하지만 그럴 능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도 포함된다. Could you pass the salt? ..